의사결정원칙, 비보상 결정원칙, 보상적 결정원칙

대안을 평가하거나 각 대안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고 특정대안을 선택하는 절차와 방식을 의사결정원칙이라고 한다.
의사결정원칙에는 비보상 결정원칙과 보상적 결정원칙이 있다.
비보상결정원칙이란?
한 평가기준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다른 평가기준의 부정적 평가를 보상할 수 없는 평가방법
비보상 결정원칙에는 사전 찾기식 방법, 순차 제거식 방법, 결합적 방법 비결합적 방법 등이 있다.
※ 사전 찾기식 방법
가장 중요한 한 개의 평가기준에 대해 여러 대안을 비교하는 것으로 비교적 단순한 원칙이다. 여러 평가기준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평가한다.
※ 순차 제거식 방법
부문별 탈락식이라고도 하며 평가기준으로 선정한 모든 속성에 대하여 최소한의 수용 수준을 설정해 놓고 중요한 속성부터 각 대안을 비교⋅평가하여 최소한의 수용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대안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마지막 남은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는 평가방법이다.
최소 수용수준의 충족 여부를 기준으로 대안을 제거해 나가는 것이다.
※ 결합적 방법
각 속성을 평가하기보다는 각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모든 속성에 대하여 최소한의 수용 수준을 각각 설정해 놓고 어느 하나의 평가기준이라도 이 수용 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그 대안은 고려대상에서 제외되게 된다.
즉, 최소 수용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선택된다.
※ 비결합적 방법
결합적 방법과 마찬가지로 각 평가기준에 대하여 최소한의 수용 수준을 설정해 놓지만 결합적 방법과는 달리 최소 수용 수준을 충족시키는 속성이 하나라도 있으면 그 대안은 모두 선택된다. 단, 이 원칙을 사용하면 복수의 대안이 선택되므로 최종 선택을 위해서는 다른 원칙을 함께 적용해야 한다.
보상적 결정원칙이란?
비보상적 결정원칙과는 다르게 평가기준으로 선정된 모든 속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특정 평가기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더라도 다른 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평가방법이다.
보상적 결정원칙에는 피시바인 다속성태도모델과 피시바인의 행위의도모델이 있다.
※피시바인
대상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대상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념강도와 속성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다속성태도모델을 제안하였다. 어떤 대안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속성에 대한 신념(개인의 주관적 평가)을 파악하고 속성의 중요성을 평가해야 한다.